한명숙 총리 지명자, 꼭 당적을 버려야 할까?
괜한 트집거리를 내세운 한나라당에게...

 

=-=-=-=-=-=-=

 

이해찬 총리의 사퇴 이후에 누가 새로운 총리 후보자가 될 것인가에 대해서 그동안 많은 의견이 있어왔습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한명숙 후보자가 총리에 지명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3월 24일(금)에 한명숙 의원이 총리 후보자로 지명되었습니다.

한명숙 총리 지명자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무난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헌정 사상 첫 여성 총리라는 의미를 부여하면서 여성 단체들은 여성의 입장을 많은 부분 대변해 줄 것이라는 기대 속에 환영하는 모습입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당적부터 정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언제부터 이렇게 당적의 정리가 중요한 사안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당적을 떠나면 무조건 ‘정치적 중립’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순수한 생각’이라고 봐야 할까요, 아니면 ‘순진한 생각’이라고 봐야 할까요? 아니면 마땅히 잡을 트집거리가 없어서 고집하는 ‘유치한 생각’이라고 봐야 할까요?

한명숙 총리 지명자는 지금까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열린우리당으로서 활동하던 사람이 자신의 결단과 정치적 견해 차이로 당적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한나라당의 요구에 마지못해서 당적을 버린다면 그야말로 눈가리고 아웅하는 정치권의 모습을 다시 한번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듯이 한나라당 또한 한명숙 의원이 당적을 정리한다고 해서 정치적 중립이 지켜질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한명숙 총리에게 당적을 정리하라는 한나라당의 요구는 그야말로 괜한 트집을 잡는 것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이명박 서울시장을 비롯한 한나라당 소속의 지방 자치단체장들도 중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당적을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 난데없이 당적 정리라는 카드밖에 꺼내지 못하는 한나라당의 사정을 생각하면 안쓰럽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지방자치 선거도 정당별로 입후보하도록 바뀐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국가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 선거에서 후보자들이 각 정당에 소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에서 변경된 것 같습니다.

열린우리당 출신의 총리가 앞으로 있을 모든 사안에 대해서 완벽한 정치적 중립을 지킬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정치적 중립은 요구하지 않더라도 국민이 바보가 아닌이상 총리의 모든 국정 업무에 대해서 모니터를 할 것입니다. 온 국민이 눈과 귀를 열고서 총리의 일거수 일투족을 지켜볼 것이기 때문에 어떤 점이 총리로서 중립을 지키지 못하는 것인지, 어떤 것이 중립을 지키는 것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총리 지명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 임하는 한나라당을 비롯한 여야 의원들 모두는 표면적으로 당적을 유지하느냐 포기하느냐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갑작스러운 이해찬 총리의 사퇴 이후의 혼란한 국정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서로 의견을 모아야 하고, 나아가 서로가 물고 물리는 대결구도가 아닌 서로 화합하고 도우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