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7 월드컵 흥행 성적은?
평균 관중 8000명, 앞으로 전망은?

 

=-=-=-=-=-=-=

 

‘U-17 월드컵’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지 않았더라면 그다지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했을 것입니다. ‘U-20 월드컵’은 지난 1984년에 박종환 사단이 4강 신화를 이룩하였고, 1991년 남북단일팀으로 8강에 오르며 우리의 기억의 한 자락을 차지하고 있지만, 1985년에 시작된 ‘U-17 월드컵’은 1985년 제1회 대회와 1987년 제2회 대회 때 8강에 진출했었지만 그다지 우리의 기억에 남아있지 않습니다.

비록 U-20 월드컵이나 U-17 월드컵이 세계적인 축구대회라고 하지만 월드컵이나 올림픽보다 상대적으로 관심도에 있어서 떨어지는 대회입니다. 이들 대회는 FIFA가 젊은 축구 유망주를 발굴하기 위한 대회로 마련했지만 세계 축구팬들은 성인 축구대회에 비중을 둘 뿐이고 U-20 월드컵이나 U-17 월드컵은 참가국들에게만 깊은 관심을 받는 대회로 머물고 있습니다.

U-20 월드컵에 비해서 U-17 월드컵이 흥행면이나 관심도에서 떨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두 대회가 비슷한 시기에 개최되었기 때문에 축구팬들은 아직은 성숙하지 않지만 가능성이 있는 유망주들의 모습을 마음껏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한편으로 캐나다에서 열렸던 U-20 월드컵과 한국에서 열리고 있는 U-17 월드컵이 그 성격상 다른 대회라고 하더라도 비교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두 대회에 모두 참가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대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습니다. 그러나 내용상으로 U-20 월드컵은 나름대로 선전했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데 반하여 U-17 월드컵 대표팀은 좀 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들이 비록 어린 선수들이고 아직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기 때문에 너무 가혹한 평가를 해서는 안된다는 조심스러운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네티즌들의 다양한 평가가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우리나라 대표팀만을 놓고 두 대회를 비교할 수도 있겠지만 대회 전반적인 것을 놓고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두 대회를 통해서 앞으로 향후 축구의 세계적인 흐름을 미리 예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한편으로 아직 U-17 월드컵이 끝나지는 않았지만 나름대로 U-20 월드컵과 비교하여 아쉬운 부분이 하나 더 있습니다. 그것은 관중 동원에 있어서 캐나다에서 열린 U-20 월드컵과 우리나라에서 열리고 있는 U-17 월드컵에서의 차이점입니다. 물론 대회의 성격상 U-20 월드컵이 관중 동원의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FIFA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U-17 월드컵은 조별리그 36게임에서 283,214명의 관중을 동원했습니다. 게임당 평균 약 8000명 정도입니다. 그런데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당연히 우리나라의 경기를 제외한 다른 경기들은 그다지 많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지 않았습니다. 독특한 것은 북한은 잉글랜드와 브라질이라는 A급 팀과의 경기이면서 같은 민족이라는 인식이 작용했던지 만명 이상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참가하지 않은 경기에서 상대적으로 관중수가 줄어든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16강 이후의 경기입니다. 우리나라가 16강 진출에 실패했기 때문에 일부러 시간을 내면서 경기장을 찾는 사람들보다는 TV로 경기를 관람하는 사람들이 더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회가 끝난 시점에서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현재의 평균 관중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달 전에 끝난 'U-20 월드컵‘ 대회에서는 조별리그 36게임에 822,427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아서 경기당 평균 23,000명을 기록하였습니다.

역대 U-17 월드컵 평균 관중 수

1985년 : 38,468명 (개최국 : 중국)
1987년 : 5,286명 (개최국 : 캐나다)
1989년 : 8,000명 (개최국 : 스코틀랜드)
1991년 : 1,156명 (개최국 : 이탈리아)
1993년 : 7,281명 (개최국 : 일본)
1995년 : 14,468명 (개최국 : 에콰도르)
1997년 : 19,791명 (개최국 : 이집트)
1999년 : 6,776명 (개최국 : 뉴질랜드)
2001년 : 10,259명 (개최지 : 트리니다드 토바고)
2003년 : 5,744명 (개최지 : 핀란드)
2005년 : 17,244명 (개최지 : 페루)
최근 국제대회 유치를 위해서 간 쓸개를 다 빼놓고 오로지 유치만 하면 된다는 식의 올인 작전에 돌입한 우리나라의 스포츠계를 보면서 그러한 모습이 외국의 스포츠 관계자들에게 어떻게 비추어질까 걱정하는 기사도 많이 있었습니다. 세계대회를 유치하려면 대회를 치를 수 있는 부대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아울러 그 대회가 훌륭하게 치러질 수 있도록 국민적 성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경기장을 찾는 관중수도 하나의 평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FIFA는 나름대로 세계대회를 준비함에 있어서 대륙별 안배도 중요하지만 나름대로 흥행적인 요소를 많이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FIFA가 축구의 불모지라고 하지만 미국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지난 1994년 미국 월드컵이 역대 월드컵 중에서 가장 흥행면에서 성공한 대회였기 때문입니다. 미국 월드컵 평균 관중은 68,991명이었습니다. 참고로 2006년 독일 월드컵이 52,491명이었고, 2002년 한일월드컵이 42,268명이었습니다.

물론 로비의 중요성도 감안해야 하겠지만, 만약 당신이 FIFA의 관계자라면 차기 대회의 개최 장소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과거에 평균 관중이 만 명도 되지 않는 관중을 기록한 나라에게 좋은 점수를 줄 수 있을까요?

최근 언론상으로 걱정스러운 것은 16강 진출 실패로 국민들의 관심이 U-17 월드컵에서 많은 부분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

U-20 월드컵이 16강 탈락 이후에 빠르게 우리나라 국민들의 관심에서 사라진 것처럼 U-17 월드컵도 그런 운명이 되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은 지나친 기우일까요?

유럽과 남미의 대결로 좁혀진 U-20 월드컵
최다 우승을 노리는 아르헨티나와 첫 우승을 노리는 체코의 격돌

 

=-=-=-=-=-=-=

 

U-20 월드컵 결승은 유럽의 체코와 남미의 아르헨티나의 대결로 좁혀졌다. 체코는 준결승에서 오스트리아를 2-0으로 제압했고, 아르헨티나는 준결승에서 칠레를 3-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양 팀은 조별리그에서 한 차례 격돌한 바 있는데 당시에는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결승전은 조별리그에서 끝내지 못한 양 팀의 대결에 마침표를 찍는 경기가 될 것이다.

역대 대회 성적으로 본다면 아르헨티나는 가장 화려한 성적을 거둔 팀이다. 11번 본선에 진출하여 다섯 번 우승(1979년, 1995년, 1997년, 2001년, 2005년)을 거둔 팀으로 이번에 우승을 달성하면 두 번 참가할 때마다 한 번 우승을 차지하는 50%의 우승확률을 보유하는 명실상부 청소년 축구의 최강의 팀이 된다.

▲ 칠레를 3-0으로 제압한 아르헨티나
ⓒ FIFA.com


아르헨티나의 최다 우승에 맞서는 팀은 유럽의 체코가 선택되었다. 체코는 체코는 이번 대회 전까지 총 네 번 본선에 진출했지만 8강 이상의 성적을 올리지 못했는데(1983년 8강, 1989년 조별리그 탈락, 2001년 8강, 2003년 조별리그 탈락) 이번 대회에서 유난히 행운이 많이 따르면서 16강과 8강을 통과했고, 준결승에서 오스트리아를 제압하고 아르헨티나와 결승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 오스트리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오른 체코
ⓒ FIFA.com


이번 대회에서도 아르헨티나는 막강한 공격력과 탄탄한 수비력을 보여주며 가장 뛰어난 팀으로 주목받고 있다. 총 여섯 경기를 통해서 14골을 성공시켰고, 한골만 실점한 아르헨티나에 비해서 체코는 여섯 경기를 통해서 9골을 넣었고 6골을 실점했다. 승부차기를 무승부로 본다면 체코는 여섯 경기에서 2승 4무를 기록한 셈이다.

아르헨티나가 화려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결승까지 올라온 반면, 체코는 그야말로 천신만고 끝에 결승까지 올라온 팀이다. 아르헨티나는 16강전에서 폴란드를 3-1로 잠재우고, 8강전에서 멕시코를 1-0으로 제압했으며 준결승에서 칠레를 3-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반면 체코는 16강전에서 일본, 8강전에서 스페인과 비긴 후에 승부차기로 따돌리고 준결승에서 오스트리아를 2-0으로 제압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청소년 축구의 최강 아르헨티나와 이번 대회에서 유난히 행운이 작용한 체코의 결승전은 한편으로는 축구의 양대 산맥인 유럽과 남미의 대결로도 주목받을 수 있다.

한편 결승전에 앞서 벌어지는 3-4위전은 체코에게 패한 오스트리아와 아르헨티나에게 패한 칠레가 격돌한다. 결승전과 마찬가지로 3-4위전 역시 유럽과 남미, 양 대륙의 자존심이 걸린 한판 승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