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이야기 38] 브라질, 대회 2연패의 위업을 달성하다.
[1962년 제7회 월드컵] 브라질, 체코슬로바키아를 누르고 우승하다.
=-=-=-=-=-=-=
# 브라질과 체코슬로바키아, 조별리그 통과
브라질은 체코슬로바키아와 멕시코, 그리고 스페인과 한 조가 되었다. 대회 전부터 브라질은 우승후보로 손꼽히고 있었다. 브라질과 한 조가 된 팀들 중에 멕시코는 약체로 평가되고 있었고, 체코슬로바키아는 그다지 주목받지 않는 팀이었다. 오히려 축구팬들의 관심사는 용병집단 스페인에게 쏠려있었다. 스페인은 1954년 마법의 팀을 이끌었던 푸스카스와 아르헨티나 출신인 디 스테파노, 파라과이 출신 마르티네스, 우루과이 출신 산타마리아 등이 포함된 그야말로 다국적 팀이었다.
브라질의 첫 상대는 약체인 멕시코였다. 멕시코는 그 동안 월드컵에서 한 번도 승리를 거두지 못한 팀이었다(1무 7패). 전반전 탐색을 마친 브라질은 후반전에 자갈로와 펠레가 한 골씩 넣으며 2-0으로 가볍게 승리를 거두었다.
브라질의 두 번째 상대는 체코슬로바키아였다. 이들과의 경기에서 펠레는 대회전에 다쳤던 대퇴부가 악화되어 제 기량을 펼치지 못하였다. 선수교체가 허용되지 않았던 당시였기에, 브라질은 실질적으로 10명이 싸운 꼴이 되었다. 이 경기에서 0-0으로 비긴 브라질은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 결과에 따라 결승 토너먼트 진출의 향방이 가려지게 되었다.
브라질의 마지막 상대인 스페인은 개개인의 기량은 뛰어났지만 팀워크에 문제가 있었다. 첫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에게 0-1로 패하고, 두 번째 경기에서 약체 멕시코에게 고전하다가 경기 종료 직전에 페이로(Peiró)가 골을 넣으면서 간신히 승리하여 1승 1패를 기록하고 있었다. 그러나 두 번의 경기를 치르면서 어느 정도 팀워크가 향상되었고, 마지막 브라질과의 경기를 잡는다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었다.
6월 6일에 열린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먼저 한 골을 넣으며 전반전을 1-0으로 앞서기 시작했다. 만약 이 경기에서 스페인에게 패하고 다음날 체코슬로바키아가 멕시코를 이긴다면 브라질은 탈락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브라질을 긴장시킬 무렵, 펠레 대신 출전한 아마릴도(Amarildo)가 후반전에 동점골(72분)과 역전골(86분)을 넣으며 팀을 구했다.
브라질이 승리하며 2승 1무가 되었고, 스페인은 1승 2패로 탈락이 확정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역시 남은 경기에 상관없이 본선 진출을 확정했는데, 결과적으로 이것은 체코슬로바키아 선수들이 멕시코와의 경기에서 전력을 기울이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멕시코는 이미 2패로 탈락이 확정되어 있었는데, 체코슬로바키아에게 3-1로 이기며 월드컵 본선 첫 승의 감격을 누리며 아쉬움을 달랬다.
# 브라질, 결승까지의 행진
조 1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한 브라질이 준준결승에서 만난 상대는 축구종주국 잉글랜드였다. 잉글랜드는 축구종주국으로서의 자존심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지만, 브라질은 펠레가 없이도 잉글랜드를 제압할 수 있는 충분한 실력을 갖고 있었다. 가린샤(2골)와 바바(1골)가 활약한 브라질은 잉글랜드를 3-1로 제압하며 준결승 진출에 성공하였다.
잉글랜드로서는 조별리그에서 헝가리에게 지고 탈락의 위기에 놓여있었으나 아르헨티나를 3-1로 격파하고 불가리아와 0-0으로 비기며 간신히 골득실에서 아르헨티나보다 앞서서 조 2위를 확보하고 준준결승에 올랐지만 브라질에게 패하며 쓸쓸히 고국으로 돌아가야 했다.
브라질의 준결승 상대는 개최국의 이점을 충분히 받으며 준준결승에서 강력한 우승후보 중의 하나인 소련을 2-1로 누르고 올라온 칠레였다. 칠레는 4강에 진출한 것도 그들의 실력을 감안해보려면 최고의 성적이었다. 칠레의 국민들은 혹시나 그들의 팀이 최강 브라질을 꺾으며 결승에 오를지도 모른다는 한 가닥 희망을 가졌지만 가린샤와 바바의 브라질은 칠레보다는 한 수 위였다. 브라질은 가린샤와 바바가 두 골씩 넣는 활약으로 4-2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 체코슬로바키아, 결승까지의 행진
조별리그의 존재가 생기면서 조별리그에서 한번 붙었던 팀들끼리 결승 토너먼트에서 재격돌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 시작했는데, 1962년 칠레월드컵에서는 브라질과 체코슬로바키아가 조별리그에서 한번 붙은 이후 결승 토너먼트를 거쳐 결승전에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브라질에 이어 조 2위로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는데, 준준결승전에서 4조의 1위 헝가리와 맞붙게 되었다. 1954년 최강의 전력을 가지고 있었던 헝가리는 서독에게 우승을 빼앗긴 이후, 헝가리 혁명을 거치면서 슬럼프를 맞이했지만 극복하고 팀을 새롭게 정비하여 점점 축구 강국으로 서서히 실력을 쌓고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헝가리가 우세하리라는 예상을 뒤엎고 1-0으로 승리하고 준결승에 진출하여 서독을 제압하고 올라온 유고슬라비아와 결승 진출을 놓고 6월 13일 경기를 치렀다. 같은 날 브라질과 칠레의 경기가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는 이 경기에서 체코슬로바키아는 3-1로 유고슬라비아를 누르고 결승 진출에 성공하였다.
전력을 기울이지 않은 멕시코와의 경기를 제외한 4경기에서 한 골만 내준 골키퍼 슈로이프를 포함한 체코슬로바키아의 철벽 수비진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공격력을 보완해 주었고, 결승까지 올라오는 데 큰 힘이 되었다.
# 브라질, 세계 최강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다.
6월 17일, 브라질과 체코슬로바키아의 결승전에서 먼저 골을 넣은 팀은 체코슬로바키아였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마소스프트가 전반 15분경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지만, 2분 뒤 아마릴도가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후반전에 들어서 브라질은 점차 경기를 주도해 나가기 시작했으며, 지토와 바바가 연속으로 득점에 성공하며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1962년 칠레 월드컵에서 브라질이 우승할 수 있었던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가린샤의 존재였다. 그의 활약은 브라질로 하여금 월드컵 우승을 달성하는 데 커다란 보탬이 되었다. 그런데 오늘날의 규정으로는 절대로 허용되어서는 안되는 일이 발생했다.
브라질의 가린샤는 준결승전에서 칠레의 로하와 부딪치며 레드카드를 받았는데, 오늘날의 규정으로는 결승전에는 참가할 수 없었겠지만 어찌된 이유인지 가린샤는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 참가할 수 있었다. 아마 이것이 브라질의 대회 2연패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제7회 대회까지 역대 월드컵에서 제3회 대회를 제외하고는 결승전에서 선제골을 빼앗긴 팀이 역전승을 거두며, ‘월드컵 결승전은 역전승으로’라는 새로운 징크스가 축구팬들에게 확실하게 인식되었다. 또한 브라질은 유럽과 남미에서 모두다 우승을 달성한 유일한 팀이 되었다.
월드컵에서 두 번 연속으로 우승한 것은 이탈리아가 먼저 달성했지만, 브라질의 연속 우승이 이탈리아의 연속 우승보다 갚진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탈리아가 우승할 당시에는 불참과 포기가 난무했고, 축구의 규칙도 제대로 확립되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브라질의 업적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브라질이 월드컵을 두번 연속으로 우승하면서, 세계 축구의 진정한 강자로 등극하였다. '축구를 탄생시킨 것은 영국이지만 그것을 완성시킨 것은 브라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브라질은 이후 오늘날까지 영원한 우승후보 0순위를 지켜오고 있다.
=-=-=-=-=-=-=
오마이뉴스에 올린 글입니다.
'과거 자료 > 월드컵 축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 제7회 월드컵 :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의 좌절 (0) | 2007.06.05 |
---|---|
[39] 제7회 월드컵 : 칠레, 홈그라운드의 이점으로 4강 신화를 이룩하다 (0) | 2007.06.05 |
[37] 제7회 월드컵 : 유럽과 남미, 자존심의 대결 (0) | 2007.06.04 |
[36] 제6회 월드컵 : 패자들의 변명 (0) | 2007.06.01 |
[35] 제6회 월드컵 : 한 지붕 네 가족, 엇갈린 본선 운명 (0) | 200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