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파랭킹 1위 브라질, 자세히 들여다보면...


2007년 7월 18일에 업데이트된 피파 홈페이지를 보면 브라질이 1위, 그리고 아르헨티나가 2위를 기록하고 있다. 6월에 3위를 달리고 있던 브라질이 1위였던 이탈리아와 2위였던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탈환한 것이다. 당시에 5위를 달리던 아르헨티나는 4위인 독일을 제치고 내친김에 이탈리아와 프랑스도 제치고 2위로 도약했다.


4월에 1위를 탈환한 이탈리아는 3개월 만에 1위 자리를 브라질에게 내주고 3위로 주저앉았으며 3월에 1위를 기록했던 아르헨티나는 5위까지 추락했다가 다시 2위로 도약하면서 브라질을 맹추격하고 있다. 만약 코파아메리카에서 아르헨티나가 우승을 했다면 7월의 피파랭킹 1위는 아르헨티나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결승전에서 브라질에게 패하면서 아르헨티나는 2위에 머문 것이다.


최근 축구대회가 너무 많아서 축구팬들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코파아메리카, U-20월드컵, 아시안컵, 피스컵... 인터넷과 언론은 발빠르게 각종 대회의 경기 결과를 축구팬들에게 알려주고 있다. 그런 과정 속에서 피파랭킹 1위를 탈환한 브라질의 모습은 그다지 강하다는 인상을 주지 못하고 있다.


우선 코파아메리카에서 우승을 차지하긴 했지만 조별리그에서 멕시코에게 패하며 자존심을 구겼고, 준결승에서 우루과이를 실력으로 제압하지 못하고 승부차기까지 갔다. 결국 최종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3-0으로 완파하며 구겨진 자존심을 일단 회복하기는 했지만 코파아메리카를 전체적으로 지켜본 축구팬들은 브라질보다 아르헨티나나 멕시코의 인상적인 경기를 잊지 못하고 있다.


브라질은 코파아메리카에서 심하게 표현하면 얻어터지고도 챔피언에 등극한 꼴이 되었다. 물론 브라질로서는 조별리그에서 불필요한 힘을 소비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조별리그 통과는 브라질 같은 팀으로서는 누워서 떡먹기처럼 결승 토너먼트 진출 관문이 넓었기 때문이다.


브라질을 격파하기 위해서는 멕시코처럼 대회 초반에 붙어야 한다. 아르헨티나가 조별리그에서 브라질을 상대했더라면 이겼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브라질은 대회가 진행될수록 팀을 만들어가는 데 능숙하기 때문에, 최종 결승에 오르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둥가 감독이 멕시코에게 패한 이후에도 우승을 장담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와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과는 우승이지만 과정은 그다지 순조롭지 못했기 때문에 브라질은 절대 강자의 이미지에 손상을 입었다. 그러나 ‘꿩 잡는 게 매’이기 때문에 코파아메리카의 우승으로 브라질은 남미축구의 챔피언에 올랐다. 아르헨티나는 무패의 전적으로 파죽지세로 결승에 올랐지만 결승에서 브라질에게 패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전투에서는 이겼지만 전쟁에서 진다’는 말이 있다. 이것은 코파아메리카에서 보여준 아르헨티나에게 어울리는 표현 같다. 조별리그와 준결승까지의 경기를 통해서 많은 축구팬들은 아르헨티나의 우승을 점치고 있었다. 그러나 결승에서 브라질에게 무릎을 꿇으며 다시 한번 2인자의 자리에 만족해야 했다.


코파아메리카가 끝난 시점에 세계 축구팬들의 관심은 캐나다에서 열리는 U-20 월드컵으로 집중되었다. 이 대회에서 브라질은 조 3위로 간신히 조별리그를 통과했다. 결승 토너먼트부터는 제 실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던 축구팬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브라질은 스페인에게 4-2로 무릎을 꿇었다.


브라질은 전통적으로 축구를 즐기는 나라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모습은 즐기는 것이 아니라 우승을 노리는 나라로 변한 것 같다.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더라도 브라질의 축구는 재미가 있었다. 그러나 우승에 집착하면서 브라질 특유의 화려한 플레이는 가끔 승리를 위해 잠시 보류하는 경기도 보여주었다.


세계 축구가 점차로 평준화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요즘의 상황에서 예전의 화끈한 브라질의 축구는 잠시 실종되어버린 것 같다.

"코파아메리카,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결승토너먼트 8강전을 앞두고

 

=-=-=-=-=-=-=

 

# 코파아메리카,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2006년 독일 월드컵 이후 남미축구의 흐름을 판가름할 수 있는 ‘2007년 코파아메리카’ 대회가 베네주엘라에서 개최되어 남미 대륙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남미축구연맹 소속의 10개국과 북중미의 2개국(멕시코, 미국)이 초청되어 진행되는 이번 대회는 벌써 총 26경기 중의 3분의 2인 18경기를 소화하며 조별리그를 마쳤다.

절반 이상이 진행된 코파아메리카에서 멕시코가 디팬딩 챔피언 브라질을 2-0으로 격파한 것과, 페루가 우루과이를 3-0으로 제압한 것, 그리고 역대 남미 축구의 동네북 역할을 충실히 담당했던 베네주엘라가 예상을 뒤엎고 조 1위로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등 볼거리가 풍부한 조별리그가 상대적으로 세계 축구팬들에게 그다지 긴장감이나 흥미를 끌지 못한 것은 무엇일까?

브라질은 멕시코에게, 우루과이는 페루에게 패했지만 결과적으로 조별리그를 마친 상황을 놓고 본다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그리고 베네주엘라의 결승토너먼트 진출은 최근 급성장한 베네주엘라 축구의 실력과 함께 개최국의 이점이 충분히 작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총 12개 팀이 참가한 조별리그에서 결승 토너먼트 진출이 좌절된 팀은 4팀에 불과했다. 4팀씩 3개조로 나뉘어 진행된 조별리그에서 조 3위를 차지하더라도 결승 토너먼트 진출에 대한 가능성은 66%라는 사실은 대회를 지켜보는 사람들의 긴장감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했다. 고작 4팀을 탈락시키기 위해서 대회 전 경기의 3분의 2를 소화했다는 사실은 효율성 측면에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다.

대회 방식에서 긴장감을 갖지 못한 남미 대륙 이외의 축구팬들이 코파아메리카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는 이유 중의 하나는 캐나다에서 열리는 'U-20 세계청소년축구대회'가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대회는 비록 20세 이하의 청소년 축구대회이지만 세계적인 대회로 남미 이외의 지역은 코파아메리카보다 더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파아메리카는 남미축구의 진수를 보여주는 대회이기에 세계 축구의 관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대회이다. 그리고 조별리그가 끝난 이후 결승 토너먼트가 시작되는 시점이 진정한 코파아메리카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약간 관심을 갖고 코파아메리카를 지켜본 사람들은 지금까지의 긴장감과는 다른 상황 속에서 결승 토너먼트를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비로소 남미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생존게임이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조별리그에서는 한 두 번의 실수도 너그럽게 용서될 수 있었지만, 결승 토너먼트는 한 번의 실수도 용납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 우루과이와 베네주엘라

우루과이는 전통적으로 코파아메리카에서는 상당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에게 밀리며 2류 국가로 분류되었고, 과거의 명성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첫 경기에서 페루에게 0-3으로 패하며 위기에 몰린 우루과이는 ‘썩어도 준치’라는 말을 생각나게 하며 조 3위로 결승 토너먼트에 턱걸이 하게 되었다.

반면, 베네주엘라는 지금까지 코파아메리카에서 1967년에 볼리비아를 3-0으로 이긴 것이 유일한 승리로, 역대 최저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보여준 베네주엘라의 모습은 그들이 더 이상 남미 축구의 동네북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다. 특별히 이번 대회에서는 개최국의 이점도 충분히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기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베네주엘라는 1승 2무로 조 1위를 기록했고, 우루과이는 1승 1무 1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간신히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우루과이와 베네주엘라는 이미 조별리그에서 한차례 격돌한 적이 있었는데(7월 3일), 당시에는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 브라질과 칠레

‘영원한 우승후보’ 브라질은 호나우딩요와 카카가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함으로 전력에 손실이 생겼지만, 브라질은 어느 한 선수에 의존하는 팀이 아니었기 때문에 조별리그를 치르면서 조직력을 다질 것이고, 결승 토너먼트에서 집중력을 발휘한다면 충분히 우승을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물론 브라질이 첫 경기에서 멕시코에게 일격을 당하고 체면을 구겼지만, 1차 목표인 조별리그 통과는 달성했다. 그들이 결승까지 아르헨티나와 멕시코를 만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행운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 조별리그에서 3-0으로 이겼던 칠레와 준준결승에서 상대한다는 사실도 좋은 측면으로 생각해볼 문제이다.

칠레는 조별리그에서 에콰도르에게 3-2로 역전승을 거두고 브라질에게는 0-3으로 패했지만, 멕시코와 0-0을 비기는 바람에 조 3위를 기록하고 결승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 팀이다. 결승 토너먼트에서는 칠레보다 브라질이 오히려 부담이 클 것이기에 칠레로서는 오히려 마음을 비우고 경기에 임한다면 뜻밖의 대어를 낚을 수 있을 것이다.

브라질의 공격의 중심인 호비뉴가 팀이 얻은 4골(페널티킥 2개)을 혼자 넣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나머지 브라질의 공격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결승 토너먼트까지 지속된다면 상대팀은 브라질을 상대하기 한결 쉬워질 것이다.

# 아르헨티나와 페루

대회 시작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아르헨티나의 우승을 예상할 정도로 아르헨티나는 참가팀 중에 최강의 맴버를 구성하고 있었다. 아르헨티나 사령탑을 맡은 바실레 감독은 1993년 코파아메리카에서 아르헨티나를 우승으로 이끈 감독이다. 다른 조에서 브라질이나 우루과이가 상대팀에게 덜미를 잡히며 체면을 구긴 반면, 아르헨티나는 더 이상의 이변을 허용하지 않으며 세 번의 경기를 모두 승리하면서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임을 확인시켜주었다.

3승으로 최강의 실력을 보여준 아르헨티나는 크레스포가 부상을 당하며 남은 경기에 참가할 수 없게 되어 전력에 차질이 생겼다. 물론 남은 선수들 중에 뛰어난 선수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것이 없다고 하지만, 아르헨티나로서는 조별리그 3연승이 결승 토너먼트까지 이어진다는 보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아르헨티나는 준준결승에서 페루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객관적인 전력에서 앞서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준결승에 만날 멕시코와 파라과이의 승자와의 대결에 벌써부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페루를 이겨야만 가능한 일이다. 페루는 조별리그에서 예상을 뒤엎고 우루과이를 3-0으로 이긴 경험이 있기 때문에, 만만하게 볼 상대가 아니다.

# 멕시코와 파라과이

지역적으로는 남미와 떨어져있지만 축구 스타일에서는 남미 축구와 가까운 멕시코는 최근 급성장한 미국에게 북중미 챔피언을 빼앗겼지만, 오히려 그것이 팀의 분위기를 쇄신하는 계기가 되었다. 멕시코는 조별리그에서 최강 브라질을 2-0으로 제압하며 이변을 일으켰으며 조 1위로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멕시코의 상대는 C조에서 아르헨티나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한 파라과이이다. 과거에 칠라베르트의 팀으로 알려진 파라과이는 젊은 선수들로 세대교체를 하였고, 우리들에게 익숙한 산타크루즈가 공격의 중심에 서 있다. 젊은 세대로 무장한 파라과이는 경험 면에서는 부족할지 모르나 젊다는 것이 가장 강력한 무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와 파라과이의 대결은 브라질을 격파한 멕시코가 유리할 것으로 사람들이 예상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축구는 상대적인 것이기에 멕시코와 파라과이의 대결은 양 팀 모두에게 방심할 수 없는 한 판이 될 것이다.

 

=-=-=-=-=-=-=

오마이뉴스에 올린 글입니다.

코파 아메리카 : 남미 축구의 챔피언을 가리자
2007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The Copa America 2007)

=-=-=-=-=-=-=

# 남미축구의 정상을 가리는 ‘코파 아메리카’

세계 축구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고 있는 유럽과 남미는 세계적인 월드컵과 올림픽 이외에 독자적으로 자신들의 챔피언을 결정하는 대회를 치르고 있다. 유럽에서는 1960년에 시작된 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이 4년마다 개최되고 있고, 남미에서는 1916년에 시작된 남미축구선수권대회(South American Championship, 후에 Copa America로 명칭을 변경함)가 있다.

남미축구선수권대회는 아르헨티나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1916년에 아르헨티나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고, 1975년 제30회 대회 때 명칭을 코파 아메리카(Copa America)로 명칭을 바꾸어 오늘날까지 총 41번의 챔피언을 탄생시켰다. 1987년 이후에는 매 2년마다 개최되었는데 2007년 제42회 베네주엘라 대회 이후부터는 4년마다 한 번씩 개최하게 된다.

‘코파 아메리카’는 남미 축구의 정상을 가리는 대회로 남미의 국가들은 월드컵과 마찬가지로 최강의 맴버를 대회에 참가시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 코파 아메리카의 역사와 함께한 남미축구연맹

이 대회는 남미축구연맹(CONMEBOL)이 주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가 14번씩 우승을 차지하였고, 지난 대회 우승국인 브라질은 총 7번 우승하였다. 그리고 파라과이(1953년, 1979년)와 페루(1939년, 1975년)가 두 번씩, 볼리비아(1961년)와 콜롬비아(2001년)가 한 번씩 정상에 등극하였다.



 

남미축구연맹 로고



1916년 7월 9일, 아르헨티나(1916년), 브라질(1916년), 칠레(1916년), 우루과이(1916년)가 중심이 되어 출발한 남미축구연맹은 파라과이(1921년), 페루(1925년), 볼리비아(1926년), 에콰도르(1927년), 콜롬비아(1936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네주엘라(1952년)가 가입하여 오늘날에는 10개의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미축구연맹의 역사는 곧 코파 아메리카의 역사인 동시에 남미 축구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비남미축구연맹 국가(초청국가)의 활약(1993년부터)


코파 아메리카는 1993년 제36회 에콰도르 대회부터 남미축구연맹에 속하지 않은 나라 중에서 두 나라를 초청하여 12개 팀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1993년 이후 멕시코, 미국, 코스타리카 등이 초청받아 참가하였는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일본이 1999년 제39회 파라과이 대회에 초청받아 참석하기도 했다.


멕시코는 1993년 이후로 빠지지 않고 초대에 응하고 있는 것이 이색적이다. 특별히 멕시코는 첫 출전한 1993년 대회에서 2위를 차지하며 화려하게 등장했고, 매번 코파 아메리카 대회 때마다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2001년 제40회 콜롬비아 대회에서는 테러리스트의 위험에 대하여 아르헨티나가 불참하고 대신 온두라스가 대신 참가하였다(남미축구연맹 9개 나라, 멕시코,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온두라스는 조 2위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하였고, 8강에서 브라질을 격파하는 이변을 보이며 4강에까지 진출하였다. 그러나 준결승전에서 개최국 콜롬비아에게 0-2로 패하고 3-4위전으로 밀려났으며, 3-4위전에서는 조별리그에서 이긴 바 있는 우루과이에게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고 3위를 차지하였다.


# 2007년 제42회 코파 아메리카 대회 : 베네주엘라


 

2007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 로고

2007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 마스코트



2007년 제42회 코파 아메리카 대회를 개최하는 베네주엘라는 남미 축구에서 가장 기록이 저조한 팀이다. 1963년에 처음 참가하기 시작하여 총 13번 참가하여 45경기를 치른 베네주엘라는 1승 7무 37패를 기록하여 총 승점이 9점이다(29득점 149실점). 베네주엘라가 기록한 1승은 1967년 제29회 우루과이 대회 때, 볼리비아를 3-0으로 꺾은 것이 유일한 승리였다.


베네주엘라는 야구는 제법 하지만 축구는 그동안 국제대회에 명함조차 제대로 내밀지 못했다. 베네주엘라가 속한 지역이 워낙 축구 강국이 몰려있는 남미 지역이라, 월드컵 참가는 거의 꿈도 꾸지 못했고, 남미 팀들과의 경기가 많기 때문에 성적이 좋을 리가 없었다. 축구 강국의 틈바구니에서 국제대회 성적이 좋지 못한 베네주엘라의 피파 랭킹도 그다지 높지 않다. 1998년 11월 129위까지 추락했던 랭킹은 2004년 4월 48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남미의 축구 강국들의 틈바구니에서 동네북이 되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베네주엘라 대표팀 로고


2007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는 2007년 6월 26일부터 7월 15일까지 베네주엘라의 수도 카라카스와 제2의 도시 마라카이보를 포함한 9개 도시 9개 경기장에서 진행될 것이다. 6월 26일 산 크리스토발에 있는 Estadio Polideportivo de Pueblo Nuevo 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 페루의 경기를 시작으로 21일 동안의 대장정이 시작되고, 7월 15일 마라카이보에 있는 Estadio Jose Pachencho Romero 경기장에서 결승전까지 총 26경기가 치러질 예정이다


=-=-=-=-=-=-=
오마이뉴스, 미디어다음, U포터뉴스, 개인블로그에도 올립니다.

FIFA, CONMEBOL을 참고하였습니다. 특별히 2007년 대회는 www.copaamerica.com를 참고하였습니다.

+ Recent posts